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의 관점에서 가정용 자동차 외관 디자인의 최적화 연구
Copyright Ⓒ 2024 KSAE / 227-08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With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the continuous improvement of productivity, family automobiles have gradually become daily consumer goods for ordinary families. The appearance of automobiles appears as a crucial factor in judging whether ordinary families purchase them or not. The application of user-perceived quality in evaluating product quality has increased; thus,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explore family automobiles’ appearance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user-perceived quality.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analysis of relevant theories and clarified how the appearance factors of family automobiles affect users’ perceived quality of the appearance of family automobiles. The research used empirical methods such as case analysis and questionnaire surveys to conduct in-depth investigations on user groups of different ages to collect preference data for the appearance design of family automobiles and analyze the influence of users’ perceived quality of the appearance of automobiles, and, based on the findings, construct optimization strategies for the appearance design of automobiles. Research has indicated that material, style, proportion, and color are factors affecting the appearance of family automobiles. Similarly, the current study’s findings foun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 style, and proportion and users’ perceived quality of the appearance design of automobiles. Hence, optimization strategies for the appearance design of family automobiles are proposed, providing valuable theoretical support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automotive design.
Keywords:
Perceived quality, Family automobiles, Exterior design, Design optimization, Influencing factors키워드:
지각된 품질, 가정용 자동차, 외관디자인, 디자인 최적화, 영향 요소1. 서 론
1.1 연구 배경 및 연구 목적
오늘날 자동차는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 생활 습관을 보여주고 개인의 사회적 지위와 미적 취향을 반영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그중 사용자는 자동차 외관 디자인에 대한 요구에 점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 시장의 경우, ≪중국 자동차 시장 연간 보고서≫(2023)의 데이터에 따르면, 소비자 소득 수준 향상과 소비 관념의 변화에 따라 자동차 시장은 개성화, 품질화, 고급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80 %의 소비자는 자동차를 구매할 때 외관 디자인을 고려하고 매력적인 디자인에 추가 비용을 지불할 의향이 있다고 답하였다.1) 자동차 외관 디자인은 단순한 미학적 측면에 머물지 않고 제조업체 간 경쟁의 핵심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오늘날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은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관점으로서 점차 많은 연구들에서 핵심 주제로 자리 잡고 있다.2)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은 제품의 실제 성능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주관적인 평가, 감정적 반응 및 개인화된 경험을 포함한다.3) 자동차 외관 디자인의 분야에서 사용자 지각된 품질의 향상은 사용자의 기능적 수요를 만족시키는 것에 더해 감정적, 미적, 개인화의 측면에서 사용자와 공감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4)
본 연구는 가정용 자동차 외관과 관련된 요소가 사용자의 자동차 외관 디자인에 대한 지각된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이러한 외관 요소를 기반으로 적절한 최적화 전략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정용 자동차 디자인 분야에 새로운 이론적 지원을 제공하여 가정용 자동차 제조업체가 사용자의 수요를 더욱 잘 이해하고 만족시키며 자동차 제품의 시장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1.2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
본 연구의 주요 범위는 가정용 자동차의 외관 디자인과 관련된 요소들이 어떻게 사용자의 자동차 외관에 대한 지각된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먼저, 본 연구는 문헌 고찰 방법을 통해 국내외의 지각된 품질 및 가정용 자동차의 외관 디자인 분야의 연구 현황을 정리하고, 그중에서 가정용 자동차의 외관에 영향을 주는 네 가지 주요 요소를 추출한다. 더욱 심층적인 사례 연구를 통해 이러한 외관 요소가 (자동차 외관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 이러한 외관 영향 요소가 실제로 외관 디자인 분야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평가되는지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연구는 자동차에 관심이 있거나 최근 구매 의향이 있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실증 연구를 통해 가정용 자동차의 외관 디자인에 대한 사용자의 실제적인 피드백을 직접 수집하여 평가 체계의 객관성과 실용성을 확보한다. 본 연구는 4개의 외관 영향 요소가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에 영향을 주는 핵심적인 요소라고 가정하고, SPSS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이 4개의 외관 영향 요소를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동시에 (자동차 외관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다변량 회귀분석을 실시한다. 최종적으로 4개의 외관 요소와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 간의 상호 영향을 바탕으로 향후 가정용 자동차 외관 디자인을 위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효과적인 자동차 외관 디자인의 최적화 전략을 제시한다.
2. 선행연구
2.1 가정용 자동차 외관 디자인의 역사 발전과 현황
가정용 자동차 외관 디자인의 역사 발전은 기술, 미학, 문화 등 여러 가지 요소와 관련되며, 사회문화 발전과 인류 수요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5) 실용주의에서 개성화, 감성적 디자인에 이르기까지의 발전 과정은 기술 진보와 미학 관념의 변화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자동차에 대한 인류의 지속적인 변화 수요도 보여준다.6)
현대적인 의미에서의 자동차는 1885년에 독일 엔지니어 카를 벤츠(Karl Benz)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고, 그 후 100여 년 동안 자동차는 동력, 구동 방식 및 외형 등에서 모두 큰 변화를 겪었으며, 자동차 외형 변화 역시 사용자가 가장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는 변화 중 하나이다.7) 20세기 초, 자동차의 등장은 혁명적인 기술적 돌파를 상징하였다. 당시 외관 디자인은 주로 실용성을 중시하였고, 외관보다는 기능과 성능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7) 예를 들어 Photo. 1와 같이 초기 자동차는 주로 간단한 네모난 상자 형태를 취하였고, 라인도 심플하고 장식 요소도 적었다.
20세기 중반에 이르러 산업 디자인이 부상하고, 미학 이론이 발전함에 따라 자동차 외관 디자인은 눈에 띄는 변화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Photo. 2와 같이 디자이너들은 다양한 스타일과 라인을 시도하고, 더욱 아름답고 역동적인 외관 효과를 추구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유선형 디자인이 주류 트렌드로 떠오르면서 외관의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자동차의 성능도 개선되었다.8)
21세기에 접어들면서 글로벌화와 정보 기술의 발전에 따라 자동차에 대한 사용자의 수요는 점차 더 개성화되었고, 감성적 체험과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9)
가정용 자동차 외관 디자인의 역사적 발전과 현황은 실용주의에서 개성화, 단일화에서 다양화, 기술 지향에서 사용자 중심으로의 변화 과정을 보여준다.10)
2.2 가정용 자동차의 외관 디자인 요소 추출
본 연구는 주로 가정용 자동차 외관 디자인에 초점을 맞추고 문헌 자료의 검색을 통해 가정용 자동차의 외관 디자인 요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러한 요소들이 사용자의 지각된 체험과 선호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깊이 있게 연구한다.
자동차의 외부 디자인에서 스타일은 핵심적인 요소로서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에 현저한 영향을 미친다. 고객들은 자동차의 디자인 스타일에 대해 뚜렷한 선호 차이를 보이며, 이러한 차이는 개인의 미적 취향뿐만 아니라 문화, 연령, 성별 등 다양한 외부 요소의 영향을 받는다.11) 사용자는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스타일에 있어 뚜렷한 선호도를 보인다. 이는 문화유산이 사용자의 인식에 미치는 결정적인 영향을 보여준다.12)
색상은 중요한 외관 디자인 요소 중 하나로서 필수적인 역할을 발휘한다. 자동차의 색상은 외관의 미감을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특별한 느낌과 메시지를 전달하여 고객의 감정과 인지 반응을 변화시키는 데 기여한다.13) 디자인 응용 과정에서 색상이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화적 의미도 깊이 융합시켜야 예상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사용자의 지각된 체험을 더욱 최적화할 수 있다.14)
소재의 선택 및 적용 방법은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소재의 선택은 차량 외부의 시각적 매력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촉각 체험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15) 서로 다른 종류의 소재를 활용하면 사용자의 제품 품질과 가치에 대한 인식과 수용 정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16) 환경보호에 대한 대중의 의식이 점차 심화됨에 따라 친환경 소재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사용자의 의사 결정 과정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이 무시할 수 없는 지위를 차지하고 있음을 부각시킨다.17)
비율은 자동차의 외관 디자인 이념을 결정하는 데 있어 기초적인 역할을 한다. 정확한 비율 관계의 확보는 디자인의 전체적인 조화성과 미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화로운 비율 관계는 자동차의 시각적 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이 자동차의 각종 성능과 품질에 대한 전체적인 느낌과 인식에도 영향을 미치고 이를 향상시킬 수 있다.18) 조화로운 비율은 자동차의 시각적 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자동차 성능에 대한 인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19)
2.3 지각된 품질의 개요
지각된 품질의 이론적 기초는 주로 인간공학, 심리학, 마케팅학 등 분야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서, 국제표준화기구 ISO 9241-11(2018) 표준은 사용자 체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제품사용 과정에 대한 사용자의 주관적인 느낌과 감정 체험을 강조한다.20) 일본 학자 카노 노리야기(Noriaki Kano)가 제시한 KANO 모델은 제품특성을 기본 요소, 기대 요소, 감동 요소의 세 가지로 구분하여 제품 특성에 대한 사용자의 다양한 반응과 경험을 설명한다.21) 지각된 품질은 일반적인 의미의 품질과는 다르며, 이는 감각 기관의 지각을 통해 사용자의 뇌에 전달하는 제품의 품질에 대한 인식이다.22) 즉, 일종의 품질에 대한 주관적인 느낌으로서 이는 제품의 실제적인 품질을 완전히 반영하지는 않으며, 그 역할은 고객의 제품의 가치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켜 최종적으로 구매 행위를 실현하도록 촉진하는 데 있다.22)
자동차의 지각된 품질은 사용자가 자동차를 접촉하는 과정에서 시각, 촉각, 청각 등 감각 기관의 체험과 운전 과정에서의 운전 체험을 통해 자동차의 품질과 각종 특성을 평가함으로써 형성된 자동차에 대한 주관적인 종합적인 인상이다.23) 예를 들어 지각된 품질의 범위는 단일한 체험에만 국한되지 않고 자동차의 정적 및 동적인 체험 전체를 포함하며, 이는 내장, 외장 제품, 서비스 품질, 사용자의 구매, 사용, 유지보수, 사후관리 등의 측면에서의 사용자 비용 체험을 포함한다.24)
지각된 품질 차원은 성능 품질과 외관 품질로 구분할 수 있다.25) 성능 품질은 신뢰성, 내구성, 정확성 및 효율성과 같은 기능 및 요구 사항에 대한 제품 또는 서비스의 성능을 의미하며, 측정 지표에는 작업 성능, 기술 사양, 고장률, 사용 수명 및 응답 속도 등이 포함된다.25) 외관 품질은 외관 디자인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과 미적 표현도 포함되며, 이러한 것들은 모두 소비자가 제품에 대한 첫인상과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품질을 평가하는 기준에는 디자인의 미관, 사용된 소재의 품질, 색상 조합, 디테일 처리와 포장 디자인 등의 측면을 포함한다.25) 우수한 지각된 품질은 사용자에게 가치 있는 만족감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구매 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26)
2.4 외관 디자인과 지각된 품질의 관계
외관 디자인은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에 깊은 영향을 미친다. Kotler와 Keller27)의 이론에 따르면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은 사용자의 제품이나 서비스 품질에 대한 주관적인 판단을 가리키며, 이러한 판단은 흔히 개인의 수요와 기대를 바탕으로 한다. 자동차 외관 디자인 분야에서 이 개념은 특히 중요하다. 사용자의 자동차에 대한 첫인상은 흔히 그 외관 디자인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시각적 매력은 사용자의 구매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Norman28)은 자신의 저서 ≪디자인과 인간 심리≫에서 인지 디자인의 세 가지 차원을 본능적 차원, 행동적 차원, 반성적 차원으로 제시하였다. 이 이론은 외관 디자인과 사용자 인지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시각을 제공하였다. 본능적 차원에서 자동차의 외관 디자인은 색상, 형태 등 요소를 통해 사용자의 정서와 느낌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며, 행동적 차원에서 디자인의 실용성과 기능성은 사용자의 사용 체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28) 또한, 반성적 차원에서 외관 디자인에 담겨진 브랜드 이념과 문화적 가치는 사용자의 가치관과 정체성과 공감대를 형성한다.28)
자동차 외관 디자인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에서, Choi 등29)의 연구에 따르면 라인의 부드러움, 색상 채도, 형태의 독특성과 같은 자동차의 외관 디자인 요소는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다양한 연령과 배경을 가진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 형식을 통해 광범위한 조사 연구를 실시한 결과 사용자들이 자동차 외관 디자인에 대한 선호가 자동차 품질에 대한 전체적인 감지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29) 또한, 문화적 차이가 외관 디자인과 사용자의 감정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도 홀시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한다. Mugge 등30)의 연구에 따르면 서로 다른 문화 배경을 가진 사용자는 자동차 외관 디자인에 대한 선호에서도 현저한 차이가 존재하며, 이러한 차이는 색상과 형태의 선택뿐만 아니라 디자인이 전달하는 문화적 의미와 가치관에도 나타난다.
2.5 선행연구의 한계성
선행연구에서 가정용 자동차 외관의 발전 현황을 소개하고 지각된 품질과 관련된 문헌을 검토하며 가정용 자동차 외관에 영향을 주는 핵심적인 요소를 추출하고 외관 디자인과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비록 앞서 언급한 문헌들은 자동차 외관 디자인의 연구 분야에서 광범위한 관심을 받고 있으며,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도 점점 더 중요시되고 있지만 자동차의 외관 요소가 (자동차 외관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에 미치는 영향의 측면에서 볼 때 관련된 연구는 여전히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특히 구체적인 외관 요소가 어떻게 (자동차 외관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들의 영향 관계를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이러한 요소의 영향을 바탕으로 가정용 자동차 외관 디자인을 위한 최적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3. 사례 분석
3.1 연구 대상 선정
현재의 자동차 산업에서 가정용 자동차의 외관 디자인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외관 디자인은 브랜드 식별과 이미지의 중요한 구성 부분으로, 독특하고 매력적인 디자인은 브랜드의 인지도와 평판을 높일 수 있다.31) 동시에 자동차는 교통수단일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신분과 생활방식의 상징이기도 하다. 정교하고 아름다운 외관 디자인은 소비자의 감정적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사용자로 하여금 차량에 대해 강한 소속감과 자부심을 가지게 할 수 있다.32) 이번 선행 이론 연구에서 가정용 자동차 외관 요소를 색상, 재질, 스타일, 비율의 4가지로 분류하고, 사례 분석 과정에서 자동차 외관의 영향 요소 활용하고 이를 더욱 세분화하여 보다 포괄적인 해석을 진행하고 외관 영향 요소에 대한 분석을 보완한다.
3.2 외관 스타일
가정용 자동차의 스타일은 주로 차체의 바디라인, A필러, C필러의 각도 관계 등 요소의 종합적인 작용에 의해 형성되며, 이러한 요소들은 가정용 자동차 외관 스타일의 전체성에 대한 사용자의 감지와 평가를 공동으로 형성한다.4)
A필러는 차량의 전면부 디자인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이는 차량의 전체적인 외형의 유선형과 시각적 효과에 뚜렷한 영향을 미친다. 가장 이상적인 A필러의 각도는 24°에서 30° 사이로서, 이는 주행 안정성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된다.33) Table 1과 같이 볼보 XC90의 경우 24°의 기울기를 사용하여 안정적이고 고급스러운 특징을 보여주며, 포르셰 Macan은 더욱 큰 26°의 기울기를 사용하여 스포티한 민첩성을 더욱 강조한다. 이러한 디자인은 방안은 운전자의 시야와 안전성 측면에서도 최적화되어 더욱 넓은 시야를 제공하고 시야의 사각지대를 줄인다.
C필러의 디자인은 차량 후면의 전체적인 시각적 효과와 차량의 스타일에 현저한 영향을 미친다.34) 90°에 가까운 안정감과 큰 C필러의 각도의 역동적인 이미지는 서로 다른 차종의 특징을 나타낸다.34) 예를 들어, 다음의 Table 2의 골프 해치백 모델은 전통적으로 견고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A3 세단 모델은 더욱 스포티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골프의 C필러 디자인은 각도와 위치를 최적화하여 약 980 mm의 뒷좌석 머리 공간을 제공하며, 시야를 방해하는 요소를 승차감을 더욱 편안하게 하고 승하차를 더욱 편리하게 한다. 아우디 A3의 C필러는 유선형이 매끄럽게 디자인되어 있고 공기저항 계수는 0.29로 약 950 mm의 뒷좌석 머리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고강도 소재를 통해 차체의 강성과 안전성을 향상시켰다. C필러의 정교한 디자인을 통해 차량은 시각적으로 더욱 역동적이고 콤팩트해 보일 뿐만 아니라, 실용성의 측면에서 탑승객의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차체의 바디라인 디자인은 차량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며, 차량의 스타일과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35) 앞으로 기울어진 바디라인은 스포티한 느낌을 강화하고 완만하면 바디라인은 안정감과 비즈니스적인 이미지를 강조하며, 멀티 바디라인의 시각적 충격을 유발한다. 예를 들어 Table 3과 같이, A5 Sportback 및 3시리즈 GT는 서로 다른 바디 라인 디자인을 통해 각자의 스타일과 기능적 목표를 달성하였다. A5 Sportback은 매끄럽고 우아한 바디 라인 디자인으로 비즈니스 스타일을 돋보이게 하며, 공기저항 계수는 0.29로 차량 외관의 미적 감각은 물론 공기역학적 성능을 최적화하여 연비 효율성을 높였다. 이에 비해 3시리즈 GT의 상승하는 바디 라인은 역동적이고 스포티한 스타일을 부각시키고, 공기저항 계수는 0.28로 차량의 역동적인 외관을 강화하면서 안정성과 조작성을 높였다.
차량 전면 디자인(A필터), 차량 후면 디자인(C필터)와 차체 바디라인 디자인에서 이러한 디테일이 어떻게 자동차의 전반적인 외관 스타일을 함께 형성하는지를 볼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 요소들이 함께 어우러지며 자동차의 미학적, 기능적 측면을 모두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려 소비자에게 시각적 즐거움과 주행의 즐거움을 동시에 제공한다.
3.3 외관 소재
자동차 외관의 소재 선택은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과 직결되며, 서로 다른 소재가 가져오는 촉감, 성능 특성과 소재의 친환경성과 안전성은 모두 자동차에 대한 사용자의 인상과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
사용자의 자동차에 대한 첫 촉감과 전체적인 체험은 매우 중요하며, 고품질의 소재는 시각적으로 매력적일 뿐만 아니라 촉감 또한 편안해야 한다.36) 예를 들어, 레인지 로버(Range Rover)는 외관 디자인에 고급 알루미늄 합금과 섬세한 금속 도장 처리를 적용하여 차량의 질감을 더욱 매끄럽고 고급스럽게 만들었다. 이와 같이 고급 소재는 자동차의 촉감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차량을 더욱 고급스럽게 보이게 하여 브랜드의 고급 이미지를 강화한다.
현대 자동차 제조에서 경량화 소재의 응용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연료 효율성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전체적인 성능도 최적화한다.37) 렉서스 LC500는 차량의 지붕과 도어 부분에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등 외관 디자인에 알루미늄과 탄소섬유 등 경량화 소재를 대량으로 사용하여 차량의 무게를 1,940 kg으로 감량하였다. 이를 통해 차량은 더욱 가벼워졌고 가속 성능과 조작성(제로백 4.7초)을 향상시켰으며 동시에 차량에 현대적이고 기술적인 느낌을 부여하였다. 경량화 소재의 응용은 차량의 가속성과 조작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를 효과적으로 낮추어 현대 소비자의 에너지 절약과 환경보호에 대한 높은 요구를 만족시킨다.37)
자동차 디자인에서 안전성은 언제나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어떠한 소재를 선택하느냐가 자동차의 안전성과 친환경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38) 강철의 강도 높은 특성으로 인해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안전 재료 중 하나이다.39) 예를 들어, 아우디 A8은 외관 디자인에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과 초고강도 강재를 사용하였으며 특히 도어와 지붕 부분에 적용되어 있다. 이러한 소재의 사용은 차량의 충돌 저항성을 크게 향상시켰으며, Euro NCAP 충돌 테스트에서 5성 등급을 획득하여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크게 강화하였다. BMW i3는 외관 디자인에 차체 패널에 사용되는 재생 플라스틱과 친환경 도료와 같은 재생 및 재활용 소재를 대거 사용하였다. 이러한 친환경 소재의 사용은 환경에 대한 부담을 줄일 뿐만 아니라 탄소 배출량을 약 50 % 감소시켰다. 친환경 소재는 환경에 대한 부담을 줄이는 데 그치지 않고 지속가능성에 대한 브랜드의 약속을 보여주며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정체성과 충성도를 강화한다.40)
3.4 외관 색상
자동차의 외관 색상의 디자인 과정에서 다양한 색상을 선택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심리적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41) 동시에 사용자의 나이, 성별, 문화 등의 요소도 사용자의 색상에 대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친다. 사용자의 선택은 개인의 취향을 기반으로 할 뿐만 아니라 특정한 관점에서 보면 차량의 색상도 주행 안정성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다.42) 따라서 외관과 색상을 디자인할 때 여러 가지 요소를 심층적으로 고려하여 더욱 뛰어난 시각적 감각과 높은 수준의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
차량의 색상은 외관의 매력뿐만 아니라 안전성에도 영향을 미치며, 차량의 색상 차이는 도로에서의 가시성에 영향을 미쳐 사고 발생 확률에 영향을 줄 수 있다.43) 흰색과 노란색과 같은 밝은 차량 색상은 운전자와 보행자의 눈에 더 잘 띄어 주간과 야간에 보다 낮은 사고율을 보이는 반면, 검은색이나 짙은 남색과 같은 짙은 색의 차량은 조명이 부족한 조건에서 눈에 잘 띄지 않아 사고 위험이 증가한다.
차량의 색상은 사람의 심리적 반응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고 서로 다른 정서와 정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41) 빨간색은 흔히 활력과 열정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특히 속도와 활력을 구현하는 스포츠카와 SUV차량에 적합하다. 예를 들어 BMW M 시리즈에 적용된 클래식 레드는 사람들의 시선을 끌 뿐만 아니라 빠름과 힘을 상징한다. 검은색은 안정적이고 고상한 인상을 주며, 메르세데스-벤츠의 S클래스와 같은 고급 세단에 주로 사용된다. 검은색은 우아함과 고귀함을 부각시킬 뿐만 아니라 차량에 일종의 권위감을 부여해 비즈니스 상황에서 운전자에게 자신감과 엄숙함을 더한다. 이 밖에 흰색은 흔히 순수함과 현대성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테슬라의 모델3 화이트 모델은 세련되고 아방가르드할 뿐만 아니라 전기차의 이념과 완벽하게 부합되는 깨끗하고 친환경적인 이미지를 전달해 젊은층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다양한 민족과 지역은 지리적 조건, 사회적 환경, 역사문화적 배경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의 심리도 다르며, 이에 따라 색상에 대한 취향과 선호도에도 차이가 존재한다. 같은 민족, 같은 지역, 같은 사회 환경에서 생활하는 사람들도 자신의 성별이나 나이, 문화적 수준에 따라 색상에 대한 선호도에 차이가 존재한다.44) 예를 들어 남성은 무겁고 어두운 색을 선호하는 반면, 여성들은 하얗고 상큼한 밝은 색을 선호한다. 일반적으로 명도와 채도가 적당한 색상은 쉽게 받아들여지고 채도가 비교적 높은 색상은 사람을 흥분시키고 비교적 인기가 있지만 명도가 너무 높은 색채는 덜 받아들여지는 경향이 있다.44) 따라서 서로 다른 지역, 민족 사람들의 선호 심리를 파악하고 이에 맞춰 자동차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시장을 발전시키고 성공을 거둘 수 있다.
3.5 외관 비율
가정용 자동차의 외관 디자인에서의 차체 비율은 전장, 전폭, 전고 및 축고 등의 비율 관계를 의미한다.45) 우수한 비율 관계는 자동차의 외관을 더욱 조화롭고 유창하게 보이게 하며, 사용자의 심미적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다.45)
자동차의 전면부는 외관 디자인의 중요한 부분의 하나로서 자동차 외관의 ‘얼굴’이라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감정 및 인지와 직접적으로 연결된다.46) 자동차의 전면부는 헤드라이트와 흡기 그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비율은 매우 중요하다.46) Photo. 3 포르쉐 911은 비교적 큰 헤드라이트와 흡기구를 사용하여 스포티함과 힘을 강조하였다. 반면, 볼보 XC90은 대형 헤드라이트와 직사각형 흡기 그릴을 선택하여 고급스러운 SUV의 브랜드 포지셔닝에 부합하는 차분한 이미지를 드러낸다. 헤드라이트와 흡기 그릴의 비율은 미적 감각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브랜드 이미지와 디자인 이념을 반영하기도 한다.
차량 외관 디자인에서 차체와 바퀴의 직경 간의 비율은 자동차의 시각적 균형, 역동성과 전체적인 심미적 감각을 직접적으로 결정한다.45) 벤츠 S클래스와 BMW 7시리즈와 같은 고급 세단은 비교적 큰 바퀴를 사용하며, 차체 크기가 비교적 길고 넓기 때문에 직경이 일반적으로 18~20인치 또는 그 이상인 바퀴를 사용한다. 이러한 디자인은 차량의 고급스러움과 중후한 외관을 강조한다. 반면 BMW M시리즈와 아우디 RS시리즈 등 스포츠 세단은 19~21인치의 큰 휠과 낮은 차체에 맞춰 차량의 역동성과 힘을 강조한다. 도요타 코롤라와 혼다 시빅과 같은 준중형 승용차의 경우 차체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 사용하는 바퀴의 직경도 보통 15~17인치 사이이다. 이러한 차종의 디자인은 실용성과 연비 효율성을 중시하며, 비교적 작은 바퀴 직경과 짧은 축간거리로 인해 시내 주행에서 더욱 강한 민첩성을 가진다.
가정용 자동차의 차체 비율을 분석할 때 WD(Wheel Diameter), 즉 차륜 지름 거리를 측정 단위로 사용한다. 다음의 Table 4에서 Table 6은 각 유형의 가정용 자동차의 차체와 차륜 지름의 비율 관계를 나타낸다.4)
자동차 디자인에서 차고와 창문 사이의 비율은 차량 외관의 미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운전자와 승객의 시각적 체험과 편안함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47) 차고와 창문의 비율이 조화롭지 못하고 창문이 너무 크거나 작을 경우 차량 전체의 조화성과 시각적 균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시장에서 차량의 매력도와 사용자의 만족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차고는 자동차의 외형과 자세에 영향을 미치며, 창문의 크기와 위치는 운전할 때의 시야와 빛이 자동차 내부로 들어오는 양과 직접적은 관련이 있다.47) 높은 차체에 작은 창문을 조합하면 자동차는 시각적으로 둔하고 폐쇄적인 느낌을 줄 수 있으며, 낮은 차체에 큰 창문을 조합하면 자동차가 안정감이 부족해 보일 수 있다.
이상의 사례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다음의 Fig. 1과 같이 4개의 외관 영향 요소의 주요 측정 차원을 추출하여 다음 단계의 실증 연구를 준비에 활용한다.
4. 실증 연구
4.1 평가 방법 및 평가 사용자 선정
본 연구는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지를 설계하였다. 리커트 척도는 응답자들의 태도, 의견과 생각을 측정하는데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심리측정 척도이다. 일련의 진술이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응답자들은 숫자로 동의하거나 동의하지 않는 정도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차량 외관 색상의 안전성이 이 차에 대한 나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5점-매우 동의, 4점-비교적 동의, 3점-보통, 2점-비교적 동의하지 않음, 1점-매우 동의하지 않음)으로 평가한다. 리커트 척도에는 고정된 규칙이 없으며, 표본에도 특별한 요구 사항이 없다. 그러나 연구자는 통계의 유효성을 보장하고 유의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충분한 표본 크기를 확보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24년 4월 5일부터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6월 1일까지 58일 동안, 가정용 자동차를 좋아하거나 최근 구매 의향이 있는 사용자를 조사 대상으로, QR코드를 통해 온라인으로 설문지를 작성하는 방식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7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유효한 설문지 662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18세에서 25세의 응답자는 63명, 26세에서 35세의 응답자는 247명, 36세에서 45세의 응답자는 168명, 45세에서 55세 응답자는 107명, 56세 이상 응답자는 77명이었다.
4.2 모델 및 가설 검토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사례 분석을 통해 가정용 자동차 외관의 4가지 핵심 요소와 각 요소의 측정 차원을 추출하였다. 가정용 자동차 외관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색상, 소재, 스타일, 비율로 구성되며 연구 모델은 다음의 Fig. 2와 같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제기한다.
- H1: 스타일은 (외관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H2: 소재는 (외관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H3: 색상은 (외관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H4: 비율은 (외관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4.3 가설 검증
본 연구는 가정용 자동차의 외관 요소가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분석을 진행한다. (외관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자동차 외관의 영향 요소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다변량 회귀분석을 실행한다. 이 외관 요소와 그 측정 차원은 선행연구와 사례 분석을 결합하여 도출한 것으로, 본 연구는 이러한 요소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 다음의 Table 7과 같이 자동차의 외관 요소를 3개의 측정 차원으로 구분하고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을 2개의 측정 차원으로 구분하여 평가를 진행한다.
5개 요소의 측청 차원의 적합도는 평가 결과의 타당성을 반영하기 때문에 측정 척도에 대한 신뢰도 분석이 필요하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스타일, 소재, 색상, 비율 및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의 5개 변수의 Cronbach’a 계수는 모두 0.9 이상으로 매우 높은 신뢰도를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Cronbach’s a 계수가 0.8에서 0.9 사이인 경우 신뢰도가 양호함을 나타낸다. 다음의 Table 8에서 볼 수 있듯이 설문 조사에 응답한 사람들의 남녀 성별 비율은 각각 51.51 %와 49.49 % 로 1:1에 매우 근접해 설문 조사의 신뢰도를 어느 정도 확보하였다. 응답자의 연령대도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26세에서 35세의 중청년이 가장 많은 247명으로 37.31 %를 차지하였고, 19세에서 25세의 청소년이 63명으로 가장 적은 9.51 %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채택한 설문 조사 디자인은 신뢰도 측면에서 적절하며, 설문 조사 설계의 일반적인 기준을 만족시켰다. 설문지 분석 상황을 고려할 때 연령대별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대표성을 가질 수 있다.
조사 결과의 신뢰도를 확인한 후, 타당성 분석을 통해 연구 문항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타당성 분석은 일반적으로 KMO 값, 공통성, 설명된 분산 및 요인적재 등 다양한 지표를 통해 데이터의 유효성을 포괄적으로 평가하는 탐색적 요인분석 방법을 사용한다.
첫 번째 차원감소분석을 진행할 때 본 논문은 주성분 분석법을 통해 네 가지 주요 성분을 확정하였으며, 이 성분들의 고유값이 모두 1을 초과였기 때문에 이 네 가지 주성분을 분석 인자로 선택하였다. 그러나 이 인자들은 본 논문에서 예상한 5개 차원의 연구 프레임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 원래의 계획은 성능 품질과 외관 품질을 하나의 인자로 묶고, 색상 관련 3개의 변수, 소재 관련 3개의 변수, 비율 관련 3개의 변수, 스타일 관련 3개의 변수가 각각 네 개의 독립적인 인자를 구성하는 것이었다. 비록 초기의 분석에서 (성능 품질, 외관 품질)과 색상과 관련된 요소(안전 및 심리적 영향 포함)가 하나의 인자로 나타났고 차체 측면라인, 후면 디자인, 전면 디자인과 색상에 대한 선호도 역시 이 인자에 포함된다. 촉감, 경량화, 친환경 안전성도 통합 처리하며, 바퀴와 차체의 비율, 흡기 그릴과 헤드라이트의 비율, 차체와 창문의 비율은 또 다른 차원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분류 방식으로 인해 분석 결과는 복잡하고 혼란스러워졌으며 예상했던 분류 효과도 달성하지 못하였다(Table 9 참조).
이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일부 변수를 선별하고 조정하였다. 데이터에서 색상과 관련된 3개의 변수와 차량 후면과 경량화에 관한 2개의 변수를 제거한 후, 본 논문은 다시 한번 인자 분석을 진행하였다. 조정 후에는 예상과 일치하는 인자들을 성공적으로 식별하였으며, 이러한 인자들은 관련 변수 또는 차원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여 연구 목표를 충족시켰다(Table 10참조).
인자 분석에서 모든 항목의 공통성은 모두 0.6 이상으로, 이는 변수와 인자 사이에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KMO 값은 0.797, Bartlett의 구형성 검증의 p 값은 0.000으로 이 데이터 세트에 대한 인자 분석이 적용 가능함을 검증하였다. 인자 분석에서 4개 인자가 설명하는 분산은 38.840 %, 14.557 %, 10.732 %, 10.317 %로, 전체 분산의 74.446 %를 설명하며, 이는 상당히 높은 설명력으로 이 4개의 인자가 데이트 세트의 대부분의 변동 정보를 포착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요인적재량 계수를 결합하여 요소 차원과 연구 항목의 대응 관계를 확인하여 연구 모델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사용자의 자동차 외관에 대한 지각된 품질과 3개의 다른 차원(스타일, 재료, 비율) 사이의 Pearson 상관계수. Pearson 상관계수는 두 변수 사이의 선형 관계의 강도와 방향을 측정하는 통계량으로, -1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진다. 1에 가까울수록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1에 가까울수록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0에 가까우면 상관관계가 없거나 약한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다음의 Table 11에서 볼 수 있듯이 0.1의 유의 수준에서 사용자는 자동차 외관에 대한 지각된 품질과 스타일, 소재, 비율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상관계수는 모두 양수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자동차 외관에 대한 지각된 품질은 3개의 외관 요소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외관 요소 중 스타일이 가장 높은 0.401이고, 소재가 두 번째로 높은 0.397이며, 비율이 가장 낮은 0.329이다.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본 논문은 스타일, 소재, 비율 등 세 가지 외관 요소가 (자동차 외관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스타일, 소재 및 비율은 독립변수로 설정되고 자동차 외관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은 종속변수로 설정된다. 다음의 Table 12와 같이 모델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자동차 외관에 대한 지각된 품질 = 1.287+스타일*0.234+소재*0.265+비율*0.174이다. 이는 스타일, 소재 또는 비율이 한 단위씩 증가할 때마다 자동차 외관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이 각각 0.234, 0.265, 0.174 단위씩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R 값(결정 계수)은 0.443이며, 이는 스타일, 소재 및 비율 세 가지 요소가 자동차 외관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의 변화에 대해 44.3 %를 설명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이 값은 데이터에 대한 모델의 설명 능력을 나타내며, R²값이 높을수록 모델이 종속변수에 의한 변화를 더욱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여기서의 R²값은 이 세 가지 요소가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의 변화를 거의 절반 정도 설명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F값(F 통계량)은 70.542로, 이는 모델 전체의 유의성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F 값은 하나 이상의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한지를 검증한다. 이 경우, 높은 F값은 스타일, 소재 및 비율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모델 전체의 예측 효과가 신뢰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VIF값(분산 팽창 인수)는 다중 공선성 문제를 감지하는 데 사용된다. 스타일의 VIF는 1.243, 소재의 VIF는 1.235, 비율의 VIF는 1.206으로 모두 5보다 작다. 이는 모델 내의 이러한 요소 간의 상관관계가 강하지 않으며 다중 공선성 문제가 심각하지 않고 모델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요약하면, VIF 값은 각각의 독립변수가 서로 과도하게 연관되어 모델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된다. D-W값(Durbin-Watson 통계)은 2.088로 2에 가까우며, 모델의 잔차 오류 시퀀스에 유의한 자기 상관성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자기 상관성은 오차항 사이에 규칙성이 존재하는지를 나타낸다. D-W값이 2에 가까우면 모델의 예측 오차가 랜덤하며 명백한 시스템 오류가 없음을 의미하며, 이는 모델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추가적으로 검증한다.
요약하면, 스타일의 회귀 계수는 0.234(t=5.985, p=0.000)로 스타일이 (외관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설명하며,가설 1이 성립한다. 소재의 회귀계수는 0.265(t=6.932, p=0.000)로 소재가 (외관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설명하며, 가설 2는 성립한다. 비율의 회귀계수는 0.174(t=4.385, p=0.000)로 비율이 (외관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설명하고, 가설 4는 성립한다. 귀무 가설 H3은 색상이 자동차 외관에서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위의 글에서 알 수 있는 색상 데이터를 추가하면, 차원 분류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색상 요인을 제거해야 하며, 따라서 가설 3은 판단할 수 없다.
5. 결 론
자동차의 외관 디자인은 브랜드 이미지, 시장 경쟁력, 소비자의 감정 반응과 공기역학적 효과에 모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사용자의 가정용 자동차 외관 디자인에 대한 지각된 품질의 측면에서 출발하여 가정용 자동차 외관 디자인의 영향 요소를 연구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가정용 자동차의 외관 발전을 되돌아보고 문헌 연구의 방식으로 가정용 자동차의 외관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추출하였다. 둘째, 조사 연구를 통해 외관 요소가 어떻게 (외관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문헌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색상, 스타일, 소재, 비례의 4개의 외관 영향 요소를 추출하였으며, 이 4개의 외관 영향 요소는 가정용 자동차의 외관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셋째, 4개의 자동차의 외관 요소의 각도에서 사례 분석을 진행하여 이러한 외관 요소가 어떻게 가정용 자동차의 외관에 구체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외관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에 대한 다양한 반응을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감지하는 품질의 서로 다른 반응을 더욱 보완하였다. 본 논문은 자동차의 외관이 다음과 같은 측면과 관련성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색채의 안전성, 심리적 역할과 선호도, 자동차의 A필러, C필러와 바디라인은 스타일에 영향을 미친다. 외관 소재는 소재의 촉감, 경량화, 환경보호 및 안전성과 관련이 있다. 차륜 지름과 차체, 헤드라이트와 흡기 그릴, 차고와 창문의 비율 관계는 공동으로 외관 비율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외관 요소의 변화는 또한 자동차 외관 디자인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에 영향을 미치며, 4개의 요소가 함께 가정용 자동차의 외관 디자인과 작용한다. 실증 연구에서 조사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례 분석에서 얻은 4개의 외관 요소의 측정 차원을 기반으로 정리한 결과 색상은 색상의 안전성, 색상의 생리적 반응과 색상의 선호도를 포함하며, 스타일은 자동차의 A필러, C필러, 바디라인을 포함하고, 소재는 촉감, 경량화, 환경보호 및 안전성이 포함되며, 비율에는 차륜 지름과 차체, 헤드라이트와 흡기 그릴, 차고와 창문의 비율이 포함된다. 외관 요소가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그중 3개의 외관 요소가 (자동차 외관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 정도는 각각 소재(.265), 스타일(.234), 비율(.174)이며, 이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가정용 자동차 외관의 소재가 (외관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품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가정용 자동차 외관 디자인을 진행할 때 외관 소재 측면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정용 자동차의 외관 디자인에 대해 다음과 같은 최적화 전략을 제시한다. 먼저, 품질이 우수하고 촉감이 좋은 소재를 선택하고 가공하는 것은 차량의 외관과 전체적인 인상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고급 알루미늄 합금과 섬세한 금속 도장 처리를 통해 사용자의 촉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량화 및 친환경 소재의 사용을 통해 차량의 무게를 줄일 수 있어 연비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현대 사회의 친환경 수요에도 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0.6 mm 두께의 고급 알루미늄 합금과 3중 금속 도장 처리를 적용하면 평균 10 % 정도의 차량 중량을 감량할 수 있고 연비 효율을 약 8 % 향상시킬 수 있다. 소재를 선택할 때 승객과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안전 기준을 충족하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또한, 외관 디자인에서의 스타일링 처리를 통해 차체의 A필러, C필러 및 바디 라인을 최적화하여 독특하고 매끄러운 라인을 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4°에서 30°의 기울기를 가진 A필러는 차량의 시각적 역동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시야를 개선하고 사각지대를 줄여 주행 안정성을 높인다. 이밖에 바디 라인 디자인의 상승 곡선은 공기역학적 효과를 최적화하고 공기저항 계수(Cd값이 0.30에서 0.28로 하락)를 감소시켜 연비 효율과 고속 주행의 안정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비율 측면에서 차체의 전장, 전폭, 전고의 비율을 정확하게 조절함으로써 전체 디자인의 조화와 시각적 매력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8인치 또는 20인치의 대형 휠을 선택하면 차량의 스포티함과 현대적인 감각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조작 성능도 개선할 수 있다. 아울러 윤거를 20 mm늘려 차량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더 넓은 차체의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차체의 차고와 창문 디자인을 최적화하여 시각적 편안함을 향상시키고, 실내 공간의 경험도 개선할 수 있다.
요약하면, 외관 디자인의 최적화는 개별적인 단계가 아닌 하나의 종합적이고 동시에 진행되는 과정이다. 소재, 스타일, 비율 등 세 가지 측면은 모두 동등하게 중요시되어야 하며, 이러한 요소에 대한 최적화를 통해 차량의 미관과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전체적인 지각된 품질과 운전 체험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 디자인 과정에서 이러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이를 최적화하여 최상의 외관 디자인 효과를 실현해야 한다.
본 연구는 가정용 자동차의 외관 요소를 추출하는 데 있어 일정한 한계점이 존재하며, 각각의 외관 요소 간의 상호적인 영향을 심층적으로 연구하지 않았다. 가정용 자동차 모델의 종류를 구체적으로 분류하지 않고 단순히 가정용 자동차라는 범위로 한정하였다. 실적 연구의 측면에서 색상 요인은 설문지 문항 설정의 불명확함으로 인해 차축소 과정에서 본 연구의 기대 차원으로 분류되지 않아 결과에서 제외되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 China Association of Automobile Manufacturers, China Automotive Technology Research Center Co and Beijing Automotive Group Co, Annual Report on the Development of China Automotive Industry (2023), Social Science Literature Press, Beijing, 2023.
- T. Choi, M. C. Lee and S. S. Kim,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f Coffee Shop Smart Order on User Satisfac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Journal of Industrial Innovation, Vol.38, No.4, pp.67-77, 2022.
- H. R. Kim and S. M. Yoon, “An Analysis of the Effect Relationships of Memorable Tourism Experiences on Perceived Quality, Memory, and Image: Focused on City Tour Bus Passengers,”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IJTHR), Vol.37, No.3, pp.33-46, 2023. [https://doi.org/10.21298/IJTHR.2023.3.37.3.33]
- D. Cao, Automotive Static Perceptual Quality Design and Evaluation, Machinery Industry Press, Beijing, 2019.
- C. Zhang, Based on Green Design the Solar Energy and Electric Car Integration Design Research, M. S. Thesis, Hebei University of Technology, Hebei, 2015.
- Y. H. Jiang, Research on SUV Exterior Styling Design Based on Formal Aesthetics Rule, M. S. Thesis, North China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Hebei, 2023.
- P. Collier and D. Horowitz, The Fords: An American Epic, Encounter Books, New York, 2021.
- W. J. Zhan and J. C. Chen, “Influence of Streamline-Design on Auto Appearance Design,” Packaging Engineering, Vol.3, pp.139-142, 2009.
- Y. J. Kim and H. S. Yoo, “Analysis of Users’ Emotion Preference for the Service Using Emotional Expressions Based on the Vehicle,” Korea Service Design Council, Vol.3, No.2, pp.51-59, 2019.
- S. G. Kim, “A Study on the Design of Electric Vehicle Design Focused on Automobile Design,”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Vol.19, No.19, pp.115-125, 2018. [https://doi.org/10.47294/KSBDA.19.6.9]
- Z. Q. Huang, Research on Evolution of Automotive Design Style: Research on Mainline of Modern Automotive Design Style Evolution, M. S. Thesis, Shanghai Jiao Tong University, Shanghai, 2010.
- G. P. Min, The Sport Image of Automobile Form Style Research, M. S. Thesis, Hunan University, Hunan, 2007.
- S. L. Zhu, “The Change of Modern Automobile Color Design,” Science & Technology Vision, Vol.13, No.26, pp.10-15, 2023.
- A. Feng and T. Nesbitt, “The Impact of Car Color on Perceived Safety and Brand Image,” Journal of Sensory Studies, Vol.35, No.1, 2020.
- G. M. Yao, X. P. Dong, L. Huang, J. Li, F. Yin, X. L. Liao and X. G. Xu, “Simulation Analysis of High &Low Temperature Size Changes of Automotive Exterior Parts Made of PP Material,” Automobile Technology & Material, Vol.10, pp.53-57, 2019.
- S. M. Pickering, J. P. Soules and J. W. Anderegg, “Development of Lightweight and High-Performance Automotive Exterior Panels Using Advanced Thermoplastics,” Procedia Materials Science, Vol.6, pp.52-57, 2019.
- Y. H. Zhang, Research on Automatic Equipment for Friction Material of Automobile Clutch Based on a Novel Environmentally-Friendly Process, M. S. Thesis, Hebei University of Technology, Hebei, 2018.
- M. M. Ye, “The Analyses of High-Class Sense in Automobile Exterior Design,” Automobile Applied Technology, Vol.46, No.12, pp.197-199, 2021.
- Y. N. Liu, Evaluation Research of Aesthetic Factors About Automotive Styling Proportions, M. S. Thesis, Shenyang Jianzhu University, Shenyang, 2015.
-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11: Usability: Definitions and Concepts, https://www.iso.org/obp/ui/#iso:std:iso:9241:-11:ed-2:v1:en, , 2018.
- N. Kano, “Attractive Quality and Must-Be Quality,” Hinshitsu = Quality, JSQC: Journal of the Japanese Society for Quality Control, Vol.14, pp.39-48, 1984.
- X. F. Hu, “Analysis on Vehicle Perceptual Quality and Mathematical Model,” Auto Engineer, Vol.4, pp.44-46, 2013.
- X. Wang, Study on Interior Design of Micro Electric Vehicle Based on the Theory of Static Perceived Quality Assessment, M. S. Thesis, Henan University of Technology, Henan, 2023.
- F. Lu, “Method and Application for Evaluating of Vehicle Perceived Quality,” Auto Engineer, Vol.5, No.20, pp.48-51, 2017.
- J. J. Li, Research on Perceived Quality of Potential Metro Users, M. S. Thesis, Central South University, Hunan, 2022.
- H. Wang, X. M. Shen and W. Long, “The De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Subjective and Objective Dimensions in Car Door Closing Sound Quality Research,” Chinese Journal of Automotive Engineering, Vol.13, No.3, pp.388-395, 2023.
- P. Kotler, K. L. Keller and A. Chernev, Marketing Management, 16th Edn., China CITIC Press, Beijing, 2022.
- D. Norman, Design Psychology, China CITIC Press, Beijing, 2003.
- S. Choi, S. Kwon and P. Kang, “The Influence of Car Styling on Perception of Brand Values: A Study of Koreans’ Evaluation of Car Styles,” Int. J. Automotive Technology, Vol.13, No.5, pp.725-732, 2012.
- R. Mugge, J. P. Schoormans and H. N. Schifferstein, “Influence of Color on Automotive Interior Freshness Judgments,” Color Research and Application, Vol.30, No.4, pp.294-301, 2005.
- C. Wang, “Analysis of Product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Brand Identity,” Design, Vol.9, pp.52-53, 2017.
- S. W. Xiao and R. K. He, “Restaurant Chandelier’s Exterior Design Based on the Emotional Analysis of Linear Elements,” Packaging Engineering, Vol.39, No.20, pp.242-247, 2018.
- Y. Q. Wu, Research on the Effect of Aerodynamic Noise Reduction by Bionic Modeling Around A-Pillar and Side-View Mirror, M. S. Thesis, Jilin University of China, Jilin, 2016.
- F. Lu, Multi-Objective Optimization Design of B Pillar of Vehicle Body Based on Function Orientation, M. S. Thesis, Hunan University, Hunan, 2019.
- X. T. Zhu, Comprehensive Study of Auto Beltline Based on the Visual Psychology Theory, M. S. Thesis, Xi’an University of Architecture and Technology, Xi’an, 2008.
- X. Zhou, The Influence of Tactile Characteristics of Product Texture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M. S. Thesis, Hunan University, Hunan, 2019.
- Y. H. Lou, Y. Q. Wang and Z. B. Xing, “Research Progress on Automotive Lightweight,” Automobile Technology & Material, Vol.9, pp.1-7, 2023.
- X. Zhang, “Material Comparison and Development Trend Analysis of Automobile Fuel Tank,” Internal Combustion Engine & Parts, Vol.13, pp.59-60, 2021.
- Y. Zhang, Structural Optimization Design of Automobile Crash Box Under Low-Speed Collision, M. S. Thesis, Dalian University of Technology, Dalian, 2019.
- Q. C. Song, Z. Y. Bai, D. Chen and Y. Liu, “Optimal Design of Apple Packaging Based on Kano Model and 5R Principle,” Packaging Engineering, Vol.9, pp.1-11, 2024.
- Y. D. Sun, M. Kang and P. Zhou, “Color Design of Automobile,” Automobile Technology & Material, Vol.5, pp.41-44, 2004.
- C. Shu, Study on the Coloring of Automotive Designs, M. S. Thesis, Jilin University of China, Jilin, 2005.
- H. J. Wu and D. Zhu, “The Influence of Car Color on Traffic Safety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logical Experiment,” Automobile Applied Technology, Vol.9, pp.147-149, 2018.
- J. S. Li and W. P. Wei, “An Introduction to Color Design in Automotive Styling,” Heilongjiang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Vol.22, p.9, 2007.
- J. Liang, A Study on Application of Proportion and Scale to Vehicle Styling and Design, M. S. Thesis, Nanjing Forestry University, Nanjing, 2011.
- W. T. Li, L. Lin, Y. Y. Li and Y. H. Wu, “Extension Comprehensive Evaluation for Kansei Elements Extraction of Automobile Front Face Design,”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for Aerospace Engineering, Vol.42, No.8, pp.1277-1284, 2023.
- W. B. Zhu, Research on Proportion of Car Model, M. S. Thesis, Northeastern University, Liaoning, 2010.